변압기 손실과 효율✶

[acf field=ver]★[acf field=rate]![acf field=edited]

변압기 손실과 효율

변압기의 효율

변압기 손실의 종류

1)부하손

  • 부하손은 저항손이 대부분으로 부하률에 제곱에 비례하는 특성
    와류손과 표류부하손은 작아서 동손에 포함시킴
  • 동손(=부하손 =저항손)
    부하전류에 의한 저항손실 (Pc=I²R)
  • 와류손 : 값이 적어 저항손에 포함
    부하전류에 의한 누설자속의 영향으로 권선에서 발생
  • 표류부하손 : 값이 적어 저항손에 포함
    누설자속의 영향으로 금구, 외함 등에서 발생

2)무부하손

  • 무부하 손실은 히스테리시스 손실과 와류손실은 자성체인 철심에서 철심에서 발생되는 철손이 대부분이며, 무부하손은 부하율에 무관하게 일정하다
  • 철손 : 히스테리시스 손실 + 와류손실
  • 무부하 시 동손 : 계산이 가능하나 값이 작아 무시
  • 유전체손 : 고압의 경우 일부 계산
  • 표유부하손 : 대용량 변압기의 경우 고려
\[ P _{i} ∝ fB _{m}^{2} \]

변압기 손실

1)동손(=부하손=저항손)

\[P_c=K(I^2_1r_1+I^2_2r_2)\]

여기서, K : 표피효과에 의한 실효저항 증가율

2)철손

  • 히스테리시스손 (n=1.6~2정도)
\[ P _{h} =\sigma_h\cdot f\cdot B^n_m [W/kg] \]
  • 와류손
\[P_e=\sigma_e(K_f\cdot f\cdot t\cdot B_m)^2[W/kg]\] \[\sigma_h : 히스테리시스손 계수,\sigma_e : 와류손계수, \]\[K_f : 파형률, f : 주파수, t : 두께, \]\[B_m : 자속밀도\]

3)표유뷰하손

  • 대용량 변압기의 경우 상판의 발열문제 발생
  • 부싱부분에 비자성체 재료인 스테인레스판, 알루미늄판 설치

4)변압기의 손실비

\[손실비=\frac{전부하동손}{무부하손(철손)}\]

변압기 손실에 대한 개선 방향

권선 개선재료 : 초전도체
방법 : 단권변압기
철심 개선재료 : 아몰퍼스
형태 : 철심 두께 앏게

변압기 효율

1)실측효율

\[\eta=\frac{P_2}{P_1}\times 100[\%]\]

여기서, P₁ : 입력 P₂ : 출력

2)규약효율

\[\eta=\frac{출력}{출력+손실}\times100[\%]=\frac{입력-손실}{입력}\times100[\%]\]

3)전일효율

  • 부하가 변동할 경우 효율을 종합적으로 계산하기 위해서 전일효율을 사용
\[\eta=\frac{1일의 출력전력량}{1일의 출력전력량+1일의 손실전력량}\]\[=\frac{P_d}{P_d+P_i\times 24+P_{cd}}\]

Pi : 철손, Pcd : 1일간의 동손

★★ 사용기기의 선정(AFT)
변압기특성(T3)
변압기(냉각방식)
변압기 이상현상 및 대책
변압기 여자 돌입전류
변압기 이행전압
변압기 임피던스 전압
변압기 주파수
변압기 보호방식(BPT) 
변압기 고장 진단방법과 절연 진단방법
유입 변압기 온라인 진단
변압기 경제적 운용방식
변압기 손실과 효율
변압기 최대 효율조건
전기이론의 해석(ICT)
변압기 구성 및 원리 * (AFT)
상전류 선전류
변압기 손실과 효율* (AFT)
변압기 최대 효율조건* (AFT)

변압기의 병렬운전⁕X
변압기 병렬운전(통합운전)
변압기 병렬운전(순환전류)
/변압기의 병렬운전(문제)
병렬운전 변압기와 순환전류
통합운전방법
특수변압기 종류*(AFI)
V-V결선* (AFI)
하이브리드 변압기* (AFH)
단권변압기* (AFH)
초전도 변압기* (AFH)
콘덴서형 계기용 변압기* (AFH)
3권선 변압기* (AFH)

게시됨

카테고리

,

작성자

태그:

댓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