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장 시간에 따른 분류⁕

[acf field=ver]★[acf field=rate]![acf field=edited]

고장시간에 따른 분류

고장시간에 따른 분류

First Cycle Short Circuit Current

① 단락발생 1/2 cycle의 단락전류가 가장 큰 시점이다.
② 회전기의 리액턴스: Xd” × (1.0~1.2)적용
③ 전력퓨즈, 저압차단기, 보호용 CT의 포화여부 검토, 계전기의 순시정정, 케이블의 기계적 강도 검토에 활용

※ 초기 비대칭 계수(MF: Multiplying Factor)

\[MF=\sqrt{1+(2e)^{\frac{-2\pi}{\frac{X}{R}}}}\]

계산된 대칭 3상단락 전류가 25kA라면, X/R=25인 경우, 1/2 cycle 단락전류의 실효치 전류?

1/2cycle 실효치 전류 = 25 × 1.6 =40[kVA]

[표] X/R에 따른 1/2주기 비대칭계수

역률 [%]단락회로 X/R비대칭 계수[실효값]비대칭 계수[피크값]
333.3221.6302.702
424.9791.5992.663
813.4601.4862.520
~~~~
850.61981.000041.439

Interrupting Short Circuit Current

① 차단기 접점이 개시되는 시점(5~8 cycle)의 단락전류 크기로 초기에 비해 감소
② 회전기의 리액턴스:Xd”×(1.5~3)적용
③ 고압이상의 차단기 차단용량 선정에 활용

Steady-state Short Circuit Current

① 회전기의 임피던스가 안정되어 전체적으로 계통 임피던스의 변화가 안정된 시점(30 cycle ~)에서 단락전류의 크기
② 회전기의 과도 리액턴스가 사라진 시점으로 동기리액턴스가 적용됨
③ 보호계전기의 한시정정에 활용

고장계산
고장 계산의 기초⁕
퍼센트 임피던스
고장 시간에 따른 분류
고장 임피던스
전력계통 단락사고에 대한 과도 해석


변환의 기초

단락전류(기본이론)
→A 기여전류
→Z 단락전류(종류)
단락전류(계산법 종류)
→Y 대칭좌표법
단락용량 경감대책(수변전설비)
→N 계통연계기
→S초전도 한류기

단락전류(계산)
→0 단락전류 계산(기본)
→1 1선지락전류 유효접지
→2 2선단락 3상단락
→3 3상단락(단락전류 단락용량)
→M 단락전류 계산(전동기)
→D 단락전류 계산(분산전원)
→R 3상단락고장(한류리액터)
→T 1선지락전류 3상단락전류

대칭 단락전류
예제1(3상단락)
예제2(3상단락)
예제3(차단기용량계산)
예제4(3상단락고장)
대칭 좌표법

불평형 고장해석
예제1(1선지락)
예제2(1선지락)
예제3(선간단락)
예제4(1선지락)
예제5(지락)
예제6(1선지락)
예제7(모선지락)
예제8(2선지락)


게시됨

카테고리

작성자

태그:

댓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