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제3(차단기)⁕

대칭 단락전류/예제(전력계통)/예제(발전기)/예제(차단기)/예제(이중모선)

대칭 단락전류 예제3

그림과 같은 전력계통에서 차단기 B의 차단용량[MVA]은 얼마인가?
단, 그림의 각 부분은 %임피던스이고, 모든 값은 100[MVA]로 환산한 값이다.

F 차단기 개방시

1) B차단기 좌측 사고를 가정

\[I_{s(L)}=\frac{100}{4+3+3}\times I_b=10I_b\]

2) B차단기 우측 사고를 가정

\[I_{s(R)}=\frac{100}{5+5}\times I_b+\frac{100}{4+3+3}\times I_b=20 I_b\]

∴ F 차단기 개방시 Is(R)가 크므로 차단용량 계산은 다음과 같다.

\[\to P_s=20\times P_b=20\times 100=2,000[MVA]\]

F 차단기 CLOSE 시

1) B차단기 좌측 사고를 가정

C-D(3%)와 B-D(3%)사이의 선로 임피던스에 의해서 단락용량 계산에 기여하는 전류와 기여하지 않는 전류가 분류하여 단락전류가 흐른다.

그러므로 총 단락전류를 먼저 구한 후에 분류된 차단용량 계산에 기여하는 전류만을 분류를 통해서 구한다.

(1) 총 단락전류

\[I_s=\frac{100}{3.5+1.5}\times I_n=20I_b\]

(2) 차단기 차단용량 계산에 기여하는 단락전류

\[I_{s(L)}=I_s\times\frac{3}{3+3}=20 I_n\times\frac{1}{2}=10 I_b\]

2) B차단기 우측 사고를 가정

C-D(3%)와 B-D(3%)사이의 선로 임피던스가 3%로 동일함으로 G2, G3에 의해서 차단용량 계산에 기여하는 전류는 좌측에서 보는 것과 동일한 값을 갖는다. 여기에 G1발전기에 의한 전류를 합해 차단용량을 계산한다.

\[I_{s(R)}=\frac{100}{5}\times I_b+10I_b=20I_b\] \[∴P_s=20\times P_b=20\times 100=2,000[MVA]\]
고장계산
고장 계산의 기초⁕
퍼센트 임피던스
고장 시간에 따른 분류
고장 임피던스
전력계통 단락사고에 대한 과도 해석


변환의 기초

단락전류(기본이론)
→A 기여전류
→Z 단락전류(종류)
단락전류(계산법 종류)
→Y 대칭좌표법
단락용량 경감대책(수변전설비)
→N 계통연계기
→S초전도 한류기

단락전류(계산)
→0 단락전류 계산(기본)
→1 1선지락전류 유효접지
→2 2선단락 3상단락
→3 3상단락(단락전류 단락용량)
→M 단락전류 계산(전동기)
→D 단락전류 계산(분산전원)
→R 3상단락고장(한류리액터)
→T 1선지락전류 3상단락전류

대칭 단락전류
예제1(3상단락)
예제2(3상단락)
예제3(차단기용량계산)
예제4(3상단락고장)
대칭 좌표법

불평형 고장해석
예제1(1선지락)
예제2(1선지락)
예제3(선간단락)
예제4(1선지락)
예제5(지락)
예제6(1선지락)
예제7(모선지락)
예제8(2선지락)


게시됨

카테고리

작성자

태그:

댓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