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제7(모선 지락)⁕

불평형 고장해석/예제1(1선지락)/예제2(1선지락)/예제3(선간단락)/예제4(1선지락)/예제5(지락)/예제6(1선지락)/예제7(모선지락)/예제8(2선지락)

불평형 고장해석 예제7

아래 그림은 수용가 발전기가 전력회사 전력계통에 연결되어 있고, 생산된 전력이 부차측에서 소비되는 구성도이다. 정상상태로 운전 중 그림과 같이 모선에서 지락사고 발생시 지락전류를 구하시오.

대칭분 등가회로

1) 영상분 등가회로

\[\%Z_{0A}=j51.66+36.1833+j11.5902\] \[\%Z_{0B}=0.24165+j0.0974+j3000\] \[\%Z_0=\frac{1}{\frac{1}{Z_{0A}}+\frac{1}{Z_{0B}}}=34.7+j62.354\]

2) 정상분 등가회로

\[\%Z_{1A}=0.06+j32.21+11.9357+j18.3536\] \[\%Z_{1B}=0.025+j0.0311+j117.4+5.8642\]\[+j5.7122+j371.21\] \[\%Z_1=\frac{1}{\frac{1}{Z_{1A}}+\frac{1}{Z_{1B}}}=9.917+j46.068\]

3) 역상분 등가회로

\[\%Z_{2A}=0.06+j32.21+11.9357+j18.3536\] \[\%Z_{2B}=0.025+j0.0311+j117.4+5.8642\]\[+j5.7122+j456.22\] \[\%Z_2=\frac{1}{\frac{1}{Z_{2A}}+\frac{1}{Z_{2B}}}=10.18+j46.068\]

지락전류 계산

\[I_g=3I_0=3\times\frac{100}{\%Z_0+\%Z_1+\%Z_2}\times I_b\] \[1,532-j4,335\] \[∴I_g=4,598[A]\]

Key Point

[1] 각각의 대칭분 등가회로를 명확하게 작성할 수 있어야 한다.

[2] 각각의 대칭분 임피던스에 대해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3] 회전기 리액턴스는 제시사항에 맞게 충실하게 적용한다.

[4] %Z값을 합성할 때, 크기로 합성할 것인지, %R과 %X로 분리해서 합성할 것인지를 합리적으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Z값과 R/X비가 주어진 문제는 반드시 분리해서 적용해야 한다.

고장계산
고장 계산의 기초⁕
퍼센트 임피던스
고장 시간에 따른 분류
고장 임피던스
전력계통 단락사고에 대한 과도 해석


변환의 기초

단락전류(기본이론)
→A 기여전류
→Z 단락전류(종류)
단락전류(계산법 종류)
→Y 대칭좌표법
단락용량 경감대책(수변전설비)
→N 계통연계기
→S초전도 한류기

단락전류(계산)
→0 단락전류 계산(기본)
→1 1선지락전류 유효접지
→2 2선단락 3상단락
→3 3상단락(단락전류 단락용량)
→M 단락전류 계산(전동기)
→D 단락전류 계산(분산전원)
→R 3상단락고장(한류리액터)
→T 1선지락전류 3상단락전류

대칭 단락전류
예제1(3상단락)
예제2(3상단락)
예제3(차단기용량계산)
예제4(3상단락고장)
대칭 좌표법

불평형 고장해석
예제1(1선지락)
예제2(1선지락)
예제3(선간단락)
예제4(1선지락)
예제5(지락)
예제6(1선지락)
예제7(모선지락)
예제8(2선지락)


게시됨

카테고리

작성자

태그:

댓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