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f field=ver]★[acf field=rate]![acf field=edited]
통신선 유도장해/차폐선의 효과
차폐선의 효과

차폐선이 없는 경우 통신선 유도전압
˙Vm=−jωM12˙I0=−˙Z12˙I0
차폐선이 있는 경우 통신선 유도전압(Vm)과 차폐계수(λ)
Vm=−Z12I0+Z2sIs
←−jωM12˙I0+[−jωM2s(−I0)]
=−Z12I0+Z2sZ1sI0Zs
←Is=VmsZs=Z1sI0Zs
=−Z12I0|1−Z1sZ2sZsZ12|
윗 식에서
λ=|1−Z1sZ2sZsZ12|
를 차폐계수라고 한다
차폐선을 설치함으로써 차폐계수(λ) 만큼 유도전압이 감소
차폐선을 전력선에 근접하여 설치한 경우 차폐계수
→Z12≃ Z2s
λ=|1−Z1sZs|
차폐선을 전력선에 근접시키면 전력선과 차폐선간 상호 인덕턴스가 매우 증가하여 Z1s가 매우 증가한다. 그러므로 차폐계수가 매우 낮아져서 통신선 유도전압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최대 40%까지 통신선 유도전압 경감효과가 있다고 한다. 또한 차폐선 자신의 임피던스(Zs)를 줄이는 것이 현실적으로 매우 유익함을 알 수 있다. 저항률이 낮은 전선으로 차폐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폐선을 통신선에 근접하여 설치한 경우 차폐계수
→Z12≃ Z1s
λ=|1−Z2sZs|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