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전원설비

  • 수트리✶

    수트리✶

    고체절연물 속에서 수지상의 방전흔적을 남기는 절연열화현상으로 넓은 의미에서 코로나 방전열화의 일종

  • 케이블의 절연과 열화✶

    케이블의 절연과 열화✶

    CV케이블은 운전 실적이 20년에 이르고 있으며. 이러한 CV케이블을 지중에 설치한 한후 6~8년이 경과하면 수트리라고 하는 열화 현상이 발생한다 케이블 내부의 수분이 생성 잔존 침입상태에서 장기간 사용하면 절연체 내에 수트리현상이 발생하여 절연 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 초전도 케이블✶

    초전도 케이블✶

    초전도 케이블은 초전도 성질을 이용한 저전압, 대전류, 저손실 대용량 및 장거리 송전이 가능하며 대도시 밀집부하 지역에 전력 공급이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앞으로 전기를 사용하는 모든설비에 폭넓게 사용이 가능하다

  • 동심중성선 케이블*

    동심중성선 케이블*

    이페이지는 동심중성선 케이블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전력케이블의 종류 및 특징⁕ 구성 1)도체 2)내부 반도전층 3)절연체 4)외부 반도전층 5)중성선 차수층 6)중성선 7)시스 동심중성선 CV케이블의 종류 전력케이블의 종류 및 특징 구조상의 변천과정에 따라 종류와 특징을 기술한다 1)CVCN 2)CNCV 3)CNCV-W 4)FR-CNCO 5)TR-CNCO 6)FR-CNCO-W 7)TR-CNCV-W 동심중성선 굵기 산정방법(배선규정 참조) 1)지락전류 계산 2)접지선 굵기 계산 나동선 접지선 굵기 계산 전력케이블의 차폐층 접지 […]

  • GPT 적용 시 CLR의 목적✶

    GPT 적용 시 CLR의 목적✶

    GPT 적용 시 CLR의 목적 지락 발생 시 유효전류를 발생하는 역할 GPT 3차 오픈 Δ단자 측 제3고조파 발생을 방지하는 열할 중성점 이상 전위진동, 중성점 불안정 이상현상 억제 역할

  • 저압회로의 단락보호✶

    저압회로의 단락보호✶

    저압 계통의 용량도 계속 높아지고 있어 고장시 파급효과가 대단히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저압회로는 회로수도 많은데 경제성을 생각할 때 지나치게 뱅크용량을 키우면 2차 측 단락용량도 증가하게 되어 또다른 문제점을 야기하므로, 보호방식을 고려하여 적정용량을 선택하여야 할 것이다.

  • 저압차단기의 보호협조✶

    저압차단기의 보호협조✶

    보호협조의 목적은 안전하게 계통 및 기기를 보호하기 위함이며 실제로 설치비용이나 사고시 전력공급의 지속성 측면에서 차이가 발생한다.

  • 저압회로의 보호방식✶

    저압회로의 보호방식✶

    저압회로는 회로수도 많은데 경제성을 생각할 때 지나치게 뱅크용량을 키우면 2차 측 단락용량도 증가하게 되어 또다른 문제점을 야기하므로, 보호방식을 고려하여 적정용량을 선택하여야 할 것이다.

  • 복합계전기✶

    복합계전기✶

    각종 계측기와 계측기능이 집약된 전력보호 감시장치이다. 복합계전기 = Digital Relay + 전자화 배전반

  • 보호계전기✶

    보호계전기✶

    전기설비의 보호란 전력설비의 이상상태 발생 및 파급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단락 지락사고가 거의 대부분이고 발생한 사고를 신속히 검출 제거함으로써 설비의 파괴와 사고의 파급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복구를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각종보호계전 시스템을 적용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