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미분류
-
주(周) 산반(散盤)()
주(周) 산반(散盤) 전시위치 : 본관305호상기 유물은 국립고궁원 본원에 전시되어있는유물입니다. 반(盤)이란 물을 담는 기명이다. 산반(散盤) 안에는 357개의 글자가 주조되어잇는데 글자와글자 사이에 희미하게 양문의 직선 테두리를 발견할 수 있으며 이는 서주 말기의 전형적인 명문의 풍격이다.명문의 대략적인 내용은 녈(夨) 과 산(㪚) 의 두나라사이에 영토분쟁이 발생하자 녈나라가 산나라의 성읍(城邑)을 침범하여 점령하였다.나중에 중앙의 주왕이 대신을 보내 녈나라의 땅두곳을 산나라에 할양토록 […]
-
전국(戰國) 감송록석금속사희존(嵌松綠石金屬絲犧尊)()
전국(戰國) 감송록석금속사희존(嵌松綠石金屬絲犧尊) 전시위치 : 본관305호상기 유물은 국립고궁원 본원에 전시되어있는유물입니다. 존(尊)은 주기(酒器)의 일종이다.희존(犧尊) 이란 동물 모습을 본떠 만든 용기를 말한다.전국시대에는 송록석을 청동기 표면에 상감하여 장식함으로써 청동기를 더욱 화려하게 보이게 했다 하지만 이처럼 동절이 정교하고 아름다우며 형체가 둥글고 두터운 동물형상의 주존은 매우 진귀한 편이다 구리를 주조하며 만든 이동물 모양 주존은 높이가 28.5센티미터이고 무게가 5.21킬로그램이다. 등부분에는 뚜껑이있어 열거나 […]
-
신(新) 왕망(王莽) 가량(嘉量)()
신(新) 왕망(王莽) 가량(嘉量) 전시위치 : 본관305호상기 유물은 국립고궁원 본원에 전시되어있는유물입니다. 청동기는 상주 시기에는 국가의 중대한 전례의 예기(禮器)로 사용되거나 부장용 명기(明器)로 사용되었으나 이 도량형 표준 계량기인 가량(嘉量)의 용도는 매우 다르다왕망은 한 왕조의 정권을 찬탈한 후 국호를 신(新)으로 바꾸고 전국의 도량형을 통일했는데, 특히 건국(建國) 원년(서기9년)에는 사람들을 시켜 이 계량기를 주소하게 했다.그 목적은 곡물의 양을 재는 용기의 기준으로 […]
-
송(宋) 여요(汝窯) 청자수선분(靑瓷水仙盆)()
송(宋) 여요(汝窯) 청자수선분(靑瓷水仙盆) 전시위치 : 본원205호 분원201호(임시)상기 유물은 국립고궁원 본원과 분원에 모두 전시되어있는유물입니다 여요 (汝窯) 는 송대의 5대 유명도요지 가운데 하나로 지금의 허난성(河南) 바오펑(바오펑) 현에 있는청량사(淸凉寺)가 그유적지이다.바오펑현은 고대에 고여주(古汝州)에 속했기때문에 지명을 따서 여요라 불리게 되었다.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여요의 기명은 궁중에서 사용되는기명을 전문으로 공급하던것으로 북송휘종이 사용했던자기이며 후대에 전해지는 것은 극히 드물다고 한다여요에서 구워 낸 자기는 조형이 […]
-
송(宋) 여요(汝窯) 청자(靑瓷) 연화식 온완(蓮花式溫碗)()
송(宋) 여요(汝窯) 청자(靑瓷) 연화식 온완(蓮花式溫碗) 전시위치 : 본원205호상기 유물은 국립고궁원 본원에 전시되어있는유물입니다 이 연화식온완은 술을 데우는 기구로서 그릇안에 통상 주전자를 하나 놓아 세트로 구성되어있었으나 애석하게도 지금은 그릇만 남아있다.만당에서 송대에 이르는시기에는 이런 유형의 그릇 형태의 수준높은 금은기와 도자기를 흔히 볼수 있엇다. 여요는 정교하게 굽기로 유면한데 이 온완의 기신은 열개의 연꽃잎으로 되고 있고완복 벽은 약간 호형을 띠고 […]
-
서주말기 종주종(宗周鐘)()
서주말기 종주종(宗周鐘) 전시위치 : 본관305호상기 유물은 국립고궁원 본원에 전시되어있는유물입니다. 종(鐘)은 고대의 전례 시 사용되던 타악기 중 하나이다.종주종(宗周鐘)은 서주(西周) 천자(天子)가 사용한 기물이다.종은 대부분입구가 아래를 향하고 있어 매달아야 두드려 연주할수 있었다종의 양면에는 총365개의 돌출형 유정(乳丁)이 잇는데, 혹자는 이것이 음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라 주장하고잇지만 사실은 일종의 장치에 불과하다 종주종이 유명해진것은 무려 123자에 달하는 명문적분이다.명문은 정중앙에 있는 징 부분부터 […]
-
서주(西周)초기 조을존(祖乙尊)()
서주(西周)초기 조을존(祖乙尊) 전시위치 : 본관305호상기 유물은 국립고궁원 본원에 전시되어있는유물입니다. 존은 상주(商周)시대 예기중하나로 주로 술을담는 기명이다이 주존은 모양이 웅장하면서도 신기하다.주존의 복부 내부 밑바닥 중앙에는 작조을보존이(作祖乙寶尊彛) 라는명문이 새겨져있는데 이는 후손인 사람이 조상인 을(乙)을 위해이 진귀한 제기를 만들었다는뜻으로 조을존 (祖乙尊) 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외형은 전후좌우로 능척이 갈고리모양으로 굽어져 돌출되어있고 앞뒤로 소의 머리가 두개 있는데 불쑥솟은 뿔과 귀가 가로 […]
-
서주(西周)말기 모공정(毛公鼎)()
서주(西周)말기 모공정(毛公鼎) 전시위치 : 본관305호상기 유물은 국립고궁원 본원에 전시되어있는유물입니다. 정은 고대에 고기를 삶는 냄비로 사용되었는데 밑에 세 개의 다리를 설치하여 물을 끓였다.정은 상주 시대에는 권력과 신분을 나타내는 예기의 하나로서 가장 중요한 기물이기도 했다. 이 모공정은 서주 말기의 전형적이 청동기이다.외부 장식이 소박하며 화려하고 위엄있는 동물 얼굴 문양의 수면문도 없으며 단지 위쪽에 간단한 환형 장식 하나있을 뿐이다. […]
-
명(明) 정덕(正德) 청화 아라비아문 번련칠공화삽(완)
명(明) 정덕(正德) 청화 아라비아문(阿拉伯文) 번련칠공화삽(番蓮七孔花揷) 전시위치 : 본원205호상기 유물은 국립고궁원 본원에 전시되어있는유물입니다 명대중기 홍치(弘治) 정덕(正德) 년간에는 유하태인 청화의 안료가 비교적 옅어져 푸른색 속에약간 회색빛을 띠었다.평담하게 그린 회염(鱠染)도 선덕 또는 성화 시기의 붓의 촉감을 중시하던 방법과는 사뭇달랐다.이시기에는 각양각색의 진열용 자기의 조형이 출현했는데 자태(瓷胎)도 비교적 두텁고 무거웠다이 기명은 둥근공 모양의 본체와 받침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둥근공 안은 비어있고 […]
-
명(明) 영락(永樂) 첨백(甜白)번련매병(番蓮梅瓶)(완)
명(明) 영락(永樂) 첨백(甜白)번련매병(番蓮梅瓶) 전시위치 : 본원205호상기 유물은 국립고궁원 본원에 전시되어있는유물입니다 영락 시기에는 관방의 자기제작이 매우중되었다.백자를 예로 들자면 태도에 고령토의 함량을 높이고 가마 온도를 높여 유약의 백도와 투명도도 높이는 것이다. 영락시기의 백유자기는 태체가 매우 얇고 유색이 하얗고 매끄러운 것이 특징이다.명대의 사람들은 이러한 백자가 막 생산된 정제당처럼 달콤하고 아름답다고 여겨첨백이라는 아름다운 이름을 붇이게 된것이다. 그릇 표면 전체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