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변전설비의 최신기술 동향✶

[acf field=ver]★[acf field=rate]![acf field=edited]

수변전설비의 최신기술 동향

건축물의 주요부하가 늘어나면서 기존의 변성, 보호에 더해
안정성, 신뢰성, 비용 절감, 기기의 소형화,
친환경, 에너지 절약등이 중요해짐

최신 기술 동향

1) 안정성

  • 충전부의 밀폐
    큐비클식 또는 GIS식 수전설비를 채용하고,
    충전부분 간의 이격거리와 보수공간을 확보한다
  • 내진성의 확보
    수변전설비, 자가설비, 축전지설비 등을 선택함에 있어
    내진처리가 된 것을 사용하고,
    내진 시공으로 설치하여 지진 시 설비보호
  • 불연화
    유입변압기, 차단기, 개폐기 등을 건식, 몰드식 또는
    SF6가스식, 차단기, 개폐기 등을 적용하여 화재 예방

2) 신뢰성

  • 고신뢰도 기기의 사용
    CGB, VCB 몰드변압기, 건식변압기, Gas절연변압기,
    GIS, 정지형 또는 디지털형 보호계전기를 사용해서 기기의 신뢰성 향상
  • 신뢰성이 높은 시스템을 구성
    • 수전방식의 이중화
    • 변압기의 다뱅크 및 예비뱅킹 또는 예비변압기 확보
    • 배전방식의 이중화
    • 정전시에 비상발전기 자동기동 제어
    • 무정전 전원장치(UPS) 사용
    • 감시제어장치의 컴퓨터화

3) 비용의 절감 (유지보수)

  • 정비가 필요없는 설비(Mainrenance Free)
    완전 밀폐형 또는 몰드화 된 기기의 사용, 시스템의 자동제어화(AutomaticControl),
    데이터이력기록(DataLogger)의 사용 등으로 정비가 필요없는 설비화 함으로써
    보수비용과 인력을 절감
  • 신속한 사고대응
    감시제어장치, 외부 진단장치, 자동고장 기록장치 등을 사용하여
    사고 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 전천후형 기기 사용
    강판제 WeatherProof형(외부기상에 영향을 받지 않는)기기,
    MatalCladSwitchgear(금속접합개폐기), GIS등을 사용한다.
  • 보수점검의 용이성
    긴 수명의 기기, 장기 무보수기기를 사용하며,
    Plug-in형 및 Draw-out Type(인출형)기기를 사용하고,
    자동감지, 제어를 자동화 하여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4) 기기의 소형화

  • 기기의 소형화
    큐비클, 몰드변압기, GIS등을 사용하여 기기의 소형화로 점유공간 축소.
  • 감시제어반의 소형화
    그래픽패널, LED디스플레이 등을 사용

5) 친환경 고려

  • 저소음
    저소음 변압기 사용, GCB, VCB를 사용함으로써 차단음 감소,
    큐비클 등으로 방음 처리, 건축구조상 방음조치를 취소
  • 저진동
    방진고무, 방진스프링, 방진매트 등을 사용함과 동시에 저진동기기를 사용
  • 저유화
    유입변압기의 사용 제한이 필요

6) 에너지절약

  • 공조설비 운전합리화, 최대수요전력 컨트롤, 역률 자동제어, 변압기 대수제어 등 실시
  • 에너지 절약형 기기를 사용

7) 건설공기 단축

  • 큐비클, 사전제작방식을 적용 공장 사전조립 확대하고,
    현장 가공부분을 줄임으로써 현장시공의 공기와 인력을 감소
  • 소형 경량화된 기기를 사용하고 시공 기계화로 시공효율을 높임

8) 경제성

  • 에너지절약
  • 계통 간소화에 의한 설비비 절감
  • 점유면적 및 점유공간의 축소
  • 설치공사비 절감
  • 유지보수 비용 절감
  • 부속기기류의 삭감
★★건축전기설비
수변전설비 계획 (WP)
수변전설비 계획시 고려사항
수변전설비 최신기술 동향
정전대책및 전원설비 신뢰성향상대책
전기 설비 종류
수변전설비 대책
변전실 고려사항
발전기실 고려사항
축전실 고려사항
ES(전기샤프트)실 고려사항

게시됨

카테고리

,

작성자

댓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