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블 화재 및 대책
건물의 대형화, 고층화에 따른 케이블이 고전압화, 대화형, 다양화되어감에 따라 케이블이 발화원이 될 가능성이 커짐
최근에 지하 대형 케이블들의 노후화로 절연이 열화되었고, 이러한 케이블들의 화재는 대단위 정전이 발생하고 정전으로 인한 지역의 업무마비 등으로 사회적 파장을 가져옴
케이블의 연소 특성
- 착화가 용이
- 전기적 에너지에 의해 가연물과 점화원이 함께 존재함에 따라 쉽게 착화
- 유독가스 및 연소생성물 다량 방출
- 플라스틱류의 케이블에 의하여 화재 시 다량의 유독가스가 발생하여 피난을 어렵게 하거나 소화활동을 어렵게 한다
- 연소열이 매우 높다
- 대형 케이블은 일단 연소가 시작되면 연소 방출량이 많고 화재 성장속도가 빠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 연소속도가 빠르다
- 케이블의 연소는 연소열이 높고, 열방출률이 높아 연소속도가 빠르게 진행된다.
- 화점 파악이 힘들다
- 케이블은 고체성 화재의 심부성 화채이고, 공기가 통하지 않는 밀폐된 공간에서의 화재로 정확한 화점 파악이 힘들어 소화 활동이 어렵다
- 소화기에 의한 소화가 어렵다
- 연소열이 크고, 화재성장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소화기로는 화재진압이 힘들다
- 화재지속시간이 길고 화재하중이 크다
- 화재지속시간이 길고, 화재하중이 커서 화재 가혹도가 크다
케이블 화재원인
1)줄열에 의한 케이블 자체 발화
- 단락, 지락, 과부하에 의한 절연체의 온도 상승
- 열적 경과에 의한 발화
- 전기 스파크에 의한 발화
- 접속부 과열에 의한 발화
2)외부에 의한 발화
- 공사 중 용접 불꽃에 의한 발화
- 케이블의 방화
- 케이블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류의 과열 등
케이블 화재 방지 대책
1)케이블 보호기기의 설계 적정화
- 보호기기의 적정화
차단기, 퓨즈 등 보호기기의 적정한 설계 필요
- 케이블 규격의 적정화
허용전류, 허용전압강하, 기계적각도 등을 감안한 케이블 규격의 적정 설계
- 배선방법의 검토
통풍이 잘 되지 않는 밀폐된 배선방법보다 통풍이 잘되는 배선방법 사용
2)고난연 케이블
내열전선, 내화전선 사용
3)케이블 관통부 방화방법
- 케이블 랙 벽관통 : 케이블 랙 주위를 내열 Seal로 빈틈없이 메운다
- 전선관의 벽관통 : 관통 부위에서 앞뒤로 약 1[m]를 불연재료로 도로 처리
- 분전반 : 배선이 관통하는 부분을 내열판과 내열 Seal로 처리
4)기설 케이블 난연화 처리
- 연소방지용 도료 표면도포하여 난연성피복 형성
- 방화 테이프 감기
단성케이블 주위에 방화테이프를 감아 내열처리 - 연소방지용 시트 설치
케이블 위에 방화시스 설비
5)케이블 선로의 화재 감지
- 정온 감지선형 감지기 설치
- 광센서 감지선형 감지기 설치
6)케이블의 점검 및 보수
- 정전상태및 활선상태에서 열화진단 진행
- 열화진단 등 이상 상태 발생 시 빠른 보수 진행
7)화재의 조기발견, 초기 소화
- 화재의 조기발견을 위한 광센서 감지기 등을 사용
- 초기 소화가 가능하도록 자동식 소화설비 설치
★소방설비
열전현상
누설 동축케이블
케이블 화재 및 대책
공동구 전기설비의 설계기준
전기화재의 원인과 대책
자탐의 비화재보
감지기
일반감지기와 아날로그 감지기 비교
내화,내열 배선의 공사방법
방재센터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의 방재실 설치기준
누전경보기
가스누설 경보기
비상조명등
비상콘센트 설비
무선통신보조설비
소방설비용 비상전원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