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2022년 06월
-
수력 계산⁕
[acf field=ver]★[acf field=rate]![acf field=edited] 수력 계산 수력발전소와 화력발전소를 전력계통에 병행 운전하여 평균전력 80[MW], 부하율 75[%]의 부하(발전단 환산)를 공급하고 있다. 아래 사항에 대해 설명하시오. (단, 수력발전소 제원은 최대출력: 100[MW], 상시 첨두출력: 70[MW], 상시출력: 50[MW], 유효낙차: 85[m]이다.) 1) 수력발전기에 채택할 수차 종류와 비속도(특유속도) 및 사용한계 2) 수력발전소 최대출력, 상시 첨두출력, 상시출력의 정의 3) 화력발전소 출력은 몇 [MW]인가? […]
-
양수 발전⁕
[acf field=ver]★[acf field=rate]![acf field=edited] 양수 발전 양수발전의 특징을 계통운영측면에서 설명하고, 양수발전의 가동이 부하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우리나나 양수발전소의 현황과 건설목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양수발전소의 운영목적을 설명하시오. 양수발전소의 효율계산식을 표시하고, 각 변수들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개요 양수발전은 경부하시에 잉여전력(값싼 전력)을 양수동력으로 이용하고, 첨두 부하시에 발전하는 첨두공급력이다. 첨두공급력으로 수력발전이 있지만, 개발지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게 해주며, 기동정지 시간이 짧고(발전개시~전출력: […]
-
캐비테이션(Cavitation)⁕
[acf field=ver]★[acf field=rate]![acf field=edited] 캐비테이션(Cavitation) 수력발전에서 캐비테이션 현상에 대해서 기술하시오. 수력발전소에 대하여 아래 사항을 설명하시오. 가) 흡출관의 정의 및 종류, 사용개소 나) 토마계수와 캐비테이션과의 관계(베르누이 정리를 이용하여 설명) 케비테이션 계수와 케비테이션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캐비테이션 수차 및 펌프 수차의 어느 부분에서 압력이 포화증기압 이하로 저하(급격한 부하의 변동이 주요 원인)되면 물이 증발하여 기포가 발생되고, 이 기포가 […]
-
수차의 종류⁕
[acf field=ver]★[acf field=rate]![acf field=edited] 수차의 종류 펠톤 수차 -> 충동 수차 노즐로부터 분사된 물을 러너 주변에 부착된 버킷에 작용시켜 그 충동력으로 회전력을 얻는 수차이다. 노즐내에는 니들을 설치하고 이것을 전후로 움직여서 제트의 단면적을 변화시킴으로 제트된 분사량을 조정한다. 펠톤 수차는 충동수차로 고낙차에 적합한 방식이다. 프란시스 수차 -> 반동 수차 수압관으로부터 유입된 고압의 물이 안내날개를 통해 반지름 방향으로부터 […]
-
수차의 선정⁕
수차의 선정 수력발전에서 발전기 출력과 낙차와의 관계를 식으로 나타내어 설명하고, 낙차의 종류 4가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수력발전소를 설계할 때 수차의 회전속도를 결정하는 과정을 보이시오. 수차의 회전속도의 결정방법을 설명하고, 수차의 회전수가 규정회전수 보다 저하하였을 경우에는 어떤 영향이 있는지 설명하시오. 수차의 정격 회전수 결정 유효낙차로부터 수차의 종류를 선정 수차의 종류와 낙차를 이용하여 비속도(Ns) 계산 최대유량(Q), 유효낙차(H) 조건에서 수차의 […]
-
비속도⁕
[acf field=ver]★[acf field=rate]![acf field=edited] 비속도 수력발전에서 발전기 출력과 낙차와의 관계를 식으로 나타내어 설명하고, 낙차의 종류 4가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수차의 비속도(특유속도)를 정의하고, 수차의 종류와 비속도 및 그 사용 한계를 약술하시오. 수력발전소를 설계할 때 수차의 회전속도를 결정하는 과정을 보이시오. 수차의 회전속도의 결정방법을 설명하고, 수차의 회전수가 규정회전수 보다 저하하였을 경우에는 어떤 영향이 있는지 설명하시오. 비속도 (특유속도, Ns, Specific […]
-
수력설비의 구성⁕
수력설비의 구성 수력설비의 구성도 수력설비의 기능 1) 취수댐 하천에 흐르는 물을 취수하기 위하여 하천의 흐름에 거의 직각 방향으로 물을 막아주는 설비로서 유량조절 기능은 없다. 2) 취수구 물을 발전소에 유도하기 위한 수로의 유입구이다. 3) 침사지 취수구로 들어온 물은 수로를 따라서 상수조로 흘러간다. 취수댐에서 취수된 물에는 토사가 많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수로의 취수구 가까운 곳에 침사지를 두어서 토사를 […]
-
소수력 발전⁕
[acf field=ver]★[acf field=rate]![acf field=edited] 소수력 발전(Small Hydropower) 소수력 발전 시설용량 10,000[kW] 이하의 수력발전(신재생에너지 포함)으로 1980년대부터 국제 에너지 가격의 폭등에 대응한 국내 부존자원의 적극적 개발방침의 일환으로 본격적인 개발이 이루어졌는데, 민간에 개발권이 개방되어 있으며, 현재 10여 개소(방우리, 금강수력 등) 정도가 운전 중이다. 소수력 발전의 특징 1) 지형과 생태계에 영향이 적다.2) 청정에너지원이다.3) 건설기간이 짧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다.4) 지역경제 활동에 […]
-
낙차⁕
낙차(Head) 개요 1) 출력식 2) 동일 출력 조건에서 ∙낙차가 크면 유량이 적어도 된다.∙유량이 적을수록 유로 및 기기 치수가 작아지므로 유리하다.∙일반적으로 낙차가 높아지면 기기 중량, 크기 및 건물도 작아지므로 건설비가 감소한다. 낙차를 얻는 방법 1) 자연하천의 구배를 그대로 이용하는 방법2) 댐을 설치하여 저수지 또는 조정지를 만드는 방법3) 계곡으로부터 양수하여 발전하는 방식4) 유역변경에 의한 방법 낙차의 종류 […]
-
유량의 변동과 그 표현⁕
[acf field=ver]★[acf field=rate]![acf field=edited] 유량의 변동과 그 표현 유량도 가로축에 1년 365일을 캘린더의 순으로 잡고 세로축에 그날에 상당하는 하천유량을 기입해서 도시한 것으로, 이 유량도만 있으면 1년을 통한 하천유량의 변동 상황을 쉽게 알 수 있다. 이 자료는 발전소의 1년간의 발전계획을 수립하는데 사용되며, 과거 10년간의 평균 유량을 기초로 한다. 유황곡선 1) 가로축에 일년의 일수를, 세로축에는 매일의 유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