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淸) 광둥누조(鏤雕) 상아투화 운룡문 투구(套球)()

상아투화 인물동심구ⓒ

상아투화 운룡문 투구

청(淸) 광둥누조(鏤雕) 상아투화인물동심구
청(淸) 광둥누조(鏤雕) 상아투화 운룡문 투구(套球)

전시위치 : 본관106호
상기 유물은 국립고궁원 본원에 전시되어있는유물입니다.

투구와 받침대를 모두 상아로 조각하여 조합해 만든것이다.투구는 지름은 약12센티미터로 가장바깥층은 고부조로 운룡문을 새겼고 안쪽은 각 층은 누조로 금지문을 새겼는데 각층이 서로 포개져 잇고 안과 박 총23개 층을 서로 자유롭게돌려 움직일 수 있다 상아 받침대의 가장 높은 곳은 투고를 놓는 받침이고 아료쪽으로 산수와 인물을 장식하고 중간에는 또다른 9층의 운룡문을 조각한 소형투구가 잇으며 다시 아래쪽으로 누조 기법으로 팡선을 조각했고 받침대 역시 운룡문을 조각하였다명 청 시대에 상아 조각이 성행하면서 광저우는 지리적 이점때문에 재료 공급이 원활하여 그 기술도  더욱 발전하게 되었다. 이 투구는 바로 광중지역의 상아 공예가의 손에 완성된것이다 우선 상아재료를 공모양으로 돌려깍은 뒤 표면에서 원심으로 향해 원뿔꼴의 구명을 어러개 둟은뒤 원뿔꼴구명을 통해 칼로 한층한층 투구를 각아낸후 다시누조방싱으로 각종문양을 조각한다제작공정이 번거롭지만 빼어난 조각 기술을 선보이며 청나라 말기의 상아조각공예의 대표적작품으로 일컬어진다.

상아투화 인물동심구 접사ⓒ
상아투화 인물동심구 근접ⓒ


게시됨

카테고리

작성자

태그:

댓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