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류 송전방식과 교류 송전방식의 비교✶

[acf field=ver]★[acf field=rate]![acf field=edited]

직류 송전방식과 교류 송전방식의 비교

HVDC 송전방식과 교류 송전방식

직류송전방식

1)장점

  • 절연계급을 낮출 수 있다
  • 송전효율이 좋다
  • 안정도가 좋다
  • 유도장해가 작다
  • 전압, 주파수가 다른 두 종류 계통을 연계할 수 있다

2)단점

  • 교류에서와 같이 전류의 영점이 없음을 직류전류의 차단이 곤란하다
  • 일단 전류로 변환된 후에는 승압 및 강압이 곤란하다
  • 인버터, 컨버터 등 교직변환장치들의 신뢰성과 보수가 문제가 된다
  • 교직변환장치에서 발생하는 고조파를 제거하는 설비가 필요하다
  • 변환장치는 유효전력의 50~60% 정도의 무효전력을 소비하므로 이를 공급하기 위한 무효전력 보상 설비비가 비싸다

교류 송전방식

1) 장점

  • 변압기로 손쉽게 전압의 승압과 강압이 가능하다.
  • 3상 교류전력으로 회전자계를 쉽게 얻을 수 있다.
    • 부하설비의 70%가 유도전동기 부하로 회전자계를 이용하여 운전한다.
  • 전류 0점이 존재하므로 사고전류 차단이 용이하다.
  • 계통의 합리적, 경제적 운용, 일관된 운영이 가능하다.
    • 발전에서 배전까지 전 과정을 통일

(2) 단점

  • 송전 손실이 크다 → 무효전력, 표피효과, 유전체손(케이블) 손실 크다.
\[\delta=\frac{1}{\sqrt{\pi\sigma f\mu\delta}}\]

δ:침투깊이,σ:도전율,μ:유전율

\[W_d=ω_cE_2\tanδWd=ω_cE_2\tan⁡δ\]

단심케이블의유전체손실

  • 인근 통신선에 유도장해가 크다.
    • 1선 지락 고장에 의한 기유도 전류(I0: 영상전류)의 영향이 큼
  • 페란티 현상, 발전기의 자기여자 현상 등의 이상상태가 발생한다.
  • 직류방식에 비해 계통 안정도가 저하됨
  • 주파수가 다른 계통의 비동기 연계가 불가능하다.
  • 송전전력의 한계가 아래식에 의해 제한된다.
\[P=V_sV_rX\sinδP=V_sV_rX\sin⁡δ\]

결론

이상의 장단점으로 볼때 직류송전방식은 500~700[km]이상의 장거리 대전력 수송, 해저케이블, 계통간의 비동기 연계 또는 주파수가 서로 다른 두 계통의 연계 등에 유리하고 그외의 경우에는 교류방식이 유리함음 알수 있다.

배전 (LD)
배전설계 계획
저압옥내배선방식
직류송전방식과 교류송전방식의 비교
간선과 분기회로
저압옥내배선 종류 (KEC232)
케이블 부설방식(간선의 부설방식)
OA배선방식
셀룰러덕트
버스덕트
케이블 트레이
케이블트랜치 공사


게시됨

카테고리

작성자

댓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