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f field=ver]★[acf field=rate]![acf field=edited]
유효접지와 비유효접지
중성점 접지의 목적
- 송전계통에 있어 각상의 대지전위를 낮추어 사용기기 및 선로의 절연Level,
절연 자재비의 경감을 위하여 설치한다 - 고장 시에는 보호계전기를 확실하게 동작시켜 고장선로를 선택 차단하며
지락시 Arc전류를 신속히 소명시키는 등의 목적으로 중심점 접지를 하고 있다
중성점 접지 종류
1)비접지
- 중성점을 접지하지 않는 방식
(절연변압기와 인체 접촉 시 감전의 위험이 없는 기기 등)
2)직접접지
- 저항이 Zero에 가까운 도체로 중성점을 접지하는 방식
3)저항 접지
- 중성점을 적당한 저항치로 접지시키는 방식
4)리액턴스 접지
- 저항접지방식과 마찬가지로 고장전류를 제한시켜
과도안정도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수용되었던 방식
5)소호 리액터 접지
- 중성점을 송전선로의 대지 정전요양과 공진하는 Reactor를 통하여 접지하는 방식
접지 계수(α)
- 1선 지락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고장점에서의 건전상 대지전압이 달할 수 있는 최고의 실효치를 사고 제거 후의 선간전압으로 나누어 %로 표시한 값
\[접지계수=\frac{고장 중 건전상 최대 대지전압}{최대 선간전압}\]
- 접지계수는 피뢰기의 정격전압 선정 시 필요
유효접지와 비유효접지
1)유효접지(Effective Grounding)≒직접접지
- 1선 지락 고장 시에 건전상의 전압상승이
계통전압(선간전압)의 (0.65~0.81) √3E 초과하지 않는 접지계 - 1선 지락시의 건전상의 전압 상승이
계통전압(선간전압)의 75%를 초과하지 않는 접지계
2)비유효접지
- 1선 지락사고 시 다른 건전선로 2상의 대지전압이
상전압에서 선간전압까지 상승하는 접지계 =√3E - 즉, 1선 지락 시의 건전상 전압상승이 75%를 초과하는 계통을 말한다
3)유효접지와 비유효접지와의 비교
구분 | 비접지 | 직접접지 |
---|---|---|
지락사고 시 건전상 전압 상승 | 크다 | 작다 |
절연 레벨 | 감소불능 | 감소가능 |
애자 계수 | 최고 | 최저 |
변압기 | 전절연 | 단절연 가능 |
과도안정도 | 크다 | 최소 (고속차단, 고속도 재폐로 방식으로 향상이 가능) |
지락전류 | 작다 | 최대 |
1선 지락 시 유도장해 | 작다 | 최대 |
보호계전기 동작 | 곤란 | 가장확실 |
검출방식 | GPT, SGR ZCT, GC+ELB | Y결선 |
★접지방법결정 (EM)
(목적에따른)
N 중성점 접지방법
R 유효접지와 비유효접지
B 배전계통의 접지(IEC 60364-3 )
(형태에따른)
O 단독접지와 공용접지S 구조체 접지설계 시 검토사항
T 통합 공통접지방식
E 등전위 본딩
G 접지선 접지봉
T 접촉전압과 보폭전압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