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페이

애플페이가 한국에서 서비스안되느 속사정

EMV

EMV란

유로머니 비자 마스터가 기존 마그네틱을이용한 결제를 대신해서 만든 전자결제에대한 표준입니다.

이는 NFT거래뿐아니라 IC를이용한 거래도 EMV를 표준결제방식으로 정의했죠

근데 이미 한국은 IC카드 거래가 가능하고 해외에서도 IC카드로 승인이 가능한데 그이유는 한국의 IC카드거래는 EMV가아닌 자체규격이고 비자 마스터도 기존 마그네틱승인망에 자체규격의 카드승인을 허용해 주었습니다.

이게 가능한이유는 당시까지만해도 국내카드사와 비자카드가 동등한관계였고 국내은행들이 비자카드의 주주였기때문에 국제카드사들이 표준결제를 강행하지 않았지만

이후 해외결제시장이 커지고 국제카드사들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비자카드는 국내카드사들에게 국제카드결제수수료인상및 국내카드승인에대해서도 료열티를 내도록 계약변경을 요구했습니다.

원래 국제카드브랜드들은 각나라별로 에이전트카드사를 정해 해당카드사를통해 승인이 이루어지고 해당카드사망으로 결제가 이루어져 이를통해 국제카드사에게 로열티가 지급되는구조였는데

한국의경우 모든카드사들이 자체결제망을 사용하는게아니라 공동망을 사용해서 카드승인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운영되기 때문에 국내승인에대한 로열티를 카드사에 직접 징수하겠다고 한건데

문제는 국내카드사들의경우 카드수수료도 정부에서 정한 저율의 수수료로만 받는상황에 공동망을운영하는 VAN사에 공동망이용수수료를 지급하면 카드결제를 통해서 이익이나지 않는구조이기때문에 국제카드사들에게 수수료를 지급할여력이 없었으며 기존의 계약이 국내분승인에대해서는 로얄티를 지불하지 않고 카드발급시 국제카드사에 발급수수료만 지급하는 계약인지라.

국내카드사와 국제카드사와의 분쟁이 일어나게 됩니다.

그로인해 국내 거의 모든카드사들이 이런 로얄티분쟁의 우려가있는 비자카드로 신규카드상품을 출시하지 않고 마스터카드로만 신규상품을 출시하고 2배이상의 격차를 가지고 있던 비자와 마스터카드점유율이 1:1상황에까지 이르자 비자카드는 기존1%인 국제결제수수료를 1.1~1.2%로 올리는걸로 양보하고

EMV를 사용한 결제의 경우 국제결제던 국내결제던 동일하게 로얄티를 내는걸로 계약을 마칩니다.

비자카드는 IC카드까지의 국내분 로얄티는 포기하고 이후 신규규격의 결제서비스는 무조건 로얄티를 받겠다는 포석이죠.

이게 문제의 시작입니다.

어차피 대한민국카드사들은 신용카드의 보급률이 정점에 이르른상황이라 IC이후의 결제서비스에대해서는 관심도 없었고 새로운서비스가 생겨도 이미 익숙한 카드결제를 소비자들도 새로운 결제서비스로 넘어간다는게 엄청나게 힘들다는것을 IC카드도입에서 격은상황이기때문에 이후 결제서비스에 대해서는관심도 없었던거죠.

그리고 이미 대한민국은 다음세대 결제방식으로 등장한 NFC결제의 경우 이미 교통카드시장이 확고하게 생성되어있었고 교통카드사와 관계때문에 NFT결제는 시작할수없던상황이였으니까요.

국제카드사의 생각은 전세계적으로 카드결제가 아직 성장성이있고 이후 새로나오는 서비스에서는 절대양보를 하지 않고 기다리겠다는 의도였는데.

이때문에 대한민국에서는 IC카드결제방식의 다음세대 결제인 NFC방식의 결제가 보급이 되지 않게 됩니다.

일단 기존에 도입된 NFC단말기에 결제서비스를 도입하게되면 기존구축한 단말기들을 교체하거나 기존단말기를 이용하는대가로 수수료를 내야하는데 앞에서 비자랑 싸운이유가 수수료인지라 그냥 NFC방식결제를 도입안합니다.

하지만 NFC결제시장은 애플의 애플페이로 점점 시장이 확대되고

간편결제를 통한 결제시장이 등장하면서 기존카드사들은 NFC결제를 준비하면 안되는 상황으로 몰리게 된거죠.

그래서 각 카드사별로 자체규격의 결제서비스를 운영합니다.

자체규격이라고해도 승인하는 방식만 다른 소프트웨어적인 호완만 필요한 규격들이라 몇몇 카드사들이 힘을모아 한국형 NFC결제규젹을 만듭니다. 그게바로 저스트 터치.

문제는 이거 아무도 모르고 사용률도 시망이고 그냥 묻힙니다. 그도그럴것이 비자랑 한 계약때문에 EMV호환으로 만들면 로열티문제가 있기때문에 호환이 안되게 만들었고 NFC결제는 이미 IC카드로 통일된 기존국내카드결제방식에서는 아무도 안쓰는 결제 방식이였으니까요.

정말NFC가 필요한건 해외나 핸드폰을 통한 간편결제인데.

일단 해외나가는 인원도 제한되고 EMV와 호환도 아니여서 쓸수도없고 폰을통한 간편결제의경우 MS방식의 삼성페이가 있었기때문에 NFC가 빛을보기는 힘든상황이였죠.

게다가 티머니를통한 결제도 가능하니..

문제는 애플의 아이폰은 애플페이만 지원하고

애플은 전세계 공용으로 서비스할수 있는 EMV규격을 사용하는걸로 계약을 체결합니다.

아이폰은 EMV만 지원하고

국내카드사는 수수료때문에 절대 EMV를 사용하지 못하고

이게 대한민국에서 애플페이가 불가능한이유입니다

국내 어느 카드사가 수수료 마케팅비용으로 감당하고 도입할수 있지 않냐고 하실수 있는데.

이건 매출이 발생하면 발생할수록 적자만나는 구조에서 벗어날수 없는 노예계약을 하는거라 아무리 마케팅비용을 많이 뿌릴수 있는카드사도 EMV를 받느니 아이폰에서 사용살수있는 NFC단말기를 만들면 만들었지 절대 EMV지원을 할수는 없는 형편입니다

다행히 우리나라 카드사들의 버티기가 어느정도 성과가있었기때문에 비자도 NFC호환 테스트조차 불가능한 상황은 피하고 싶어서 각카드사별로 한개에서 두개카드라는조건을걸고 EMV결제시 기존수수료체계로 결제할수있게 해줬고 마스터카드의경우에는 국내결제분에대해서는 로얄티를 받지 않는상황이되고

EMV가 아닌 EMV호환기술에대해서 로열티협상도 응한 상태입니다.

그래서 국내에서 카드사들이 EMV호환규격의 결제방식을 개발운용한다고 이야기가나온거죠.


게시됨

카테고리

작성자

태그:

댓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