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기의 과도 리액턴스에 대한 MF를 고려하여
단락전류를 계산하시오
다음그림과 같은 계통에서 F점에서 단락사고 발생시 전동기의 과도 리액턴스에 대한 MF를 고려하여 단락전류를 계산하시오 (단, 전원 측과 선로의 임피던스는 무시한다).

전동기 용량 | X”[%] | MF |
500[kVA] | 17 | 1.5 |
100[kVA] | 17 | 3 |
1)기준용량
1,000[kVA]
2)퍼센트 임피던스
M1=17×1,000500×1.5=51[%]
M2=17×1,000100×3=510[%]
Tr2=4×1,000200=20[%]
3)임피던스 맵

4)단락전류
In=1,000√3×6.6=87.477[A]
Is=84.4774.51488×100=1,871[A]
5)MF의 의미
- 회전기의 임피던스
- 차과도 리액턴스(X”d)->과도 리액턴스(X’d)->동기 리액턴스(Xd)
- 크기가 시정수에 따라 늘어남
- 리액턴스는 늘어나고 단락전류는 줄어듦
- MF(Multipying Factor)
단락전류의 시간적 변화에 따른 크기를 계산하기 위해서 지수함수적으로 감쇄하는 방식으로 계산하여야 하므로 매우 복잡하다. 이를 간단히 수치화한 것이 MF이다.
MF=i”sis=X”d적용단락전류Xd적용단락전류
☆제어및 보호방식결정(단락전류,지락전류)
단락전류 기본이론
단락전류 종류
단락전류 계산법 종류
수변전설비 단락용량 경감대책
계통연계기
초전도 한류기
단락전류 계산 FLOW
→A점과 B점의 단락전류 계산
→3상단락전류 및 단락용량
→단락전류 계산(전동기)
→단락용량 계산(분산전원)
→3상단락고장(한류리액터)
→1선지락전류와 3상단락전류계산
→2선 단락고장과 3상 단락사고의 비 계산
→1선지락과 유효접지
답글 남기기